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소속 국가들의 예선 대회이다. 1차 예선은 FIFA 랭킹 최하위 팀들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렀으며, 2차 예선은 48개 팀이 4팀씩 12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최종 예선에는 2차 예선을 통과한 20개 팀이 4팀씩 5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러 각 조 1위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했으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최종 예선 조 2, 3위 팀에게 출전 자격이 주어졌다. 최종 결과, 카메룬, 나이지리아, 알제리, 가나, 코트디부아르,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최종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최종 예선은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카메룬,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 가나, 알제리가 본선에 진출했으며, 총 61경기에서 135골이 기록되었다. -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은 2007년 11월 조 추첨을 시작하여 1차 예선을 통과한 팀들을 FIFA 랭킹에 따라 4개의 포트로 나누어 12개 조로 조별 리그를 진행, 각 조 1위 팀과 2위 팀 중 상위 8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도록 했다. -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최종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최종 예선은 2010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카메룬, 나이지리아, 코트디부아르, 가나, 알제리가 본선에 진출했으며, 총 61경기에서 135골이 기록되었다. -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2차 예선은 2007년 11월 조 추첨을 시작하여 1차 예선을 통과한 팀들을 FIFA 랭킹에 따라 4개의 포트로 나누어 12개 조로 조별 리그를 진행, 각 조 1위 팀과 2위 팀 중 상위 8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하도록 했다. -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남미 지역 예선은 1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쟁하여 상위 4개 팀이 본선에 직행하고, 5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거쳐 본선 진출을 결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북중미카리브 지역 예선은 CONCACAF 소속 35개국이 참가하여 4단계 예선을 거쳐 미국, 멕시코, 온두라스가 본선에 진출하고, 코스타리카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대회이다.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요약 | |
대회 명칭 |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
연도 | 2007년 - 2009년 |
개최국 | 해당 없음 |
기간 | 2007년 10월 14일 - 2009년 11월 18일 |
참가 팀 수 | 51 |
경기 수 | 202 |
총 득점 | 505 |
총 관중 | 4,187,287명 |
최다 득점자 | 무무니 다가노 (12골) |
이전 대회 | 2006년 |
다음 대회 | 2014년 |
지역 예선 정보 | |
참가 자격 |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소속 국가 |
예선 방식 | 3차 예선으로 진행. 각 조 1위는 2010년 FIFA 월드컵 진출, 각 조 상위 3팀은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 |
특이 사항 | 에리트레아는 경기 시작 전에 기권 에티오피아는 FIFA에 의해 자격 정지. 이미 치른 4경기는 무효 처리 |
![]() | |
![]() |
2. 1차 예선
1차 예선은 2007년 7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 회원국 중 FIFA 랭킹이 가장 낮은 10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르는 방식이었다. 2차 예선에 진출하는 5개 팀을 가리는 단계였다.
상투메 프린시페와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이 2007년 9월에 기권하면서, 에스와티니와 세이셸은 부전승으로 2차 예선에 자동 진출했다.[5]
소말리아 내전으로 인해 지부티와 소말리아의 경기는 지부티에서 단판 승부로 치러졌다.[5]
2. 1. 경기 결과
1차전 홈 팀 | 합계 | 2차전 홈 팀 | 1차전 | 2차전 |
---|---|---|---|---|
마다가스카르 | 10 - 2 | 코모로 | 6 - 2[4] | 4 - 0[4] |
소말리아 | 0 - 1 | 지부티 | 경기 없음 | 0 - 1[4] |
시에라리온 | 1 - 0 | 기니비사우 | 1 - 0[4] | 0 - 0[4] |
- 소말리아는 내전으로 인해 홈 경기를 치르지 못하고 지부티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되었다.[5]
3. 2차 예선
2차 예선에는 1차 예선을 통과한 3개 팀과 예선 면제 팀을 포함한 48개 팀이 참가했다. 이들은 2007년 11월 25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조 추첨을 통해 4개 팀씩 12개 조로 나뉘었다.[6] 각 조는 2008년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리그전을 치렀으며, 각 조 1위 팀과 각 조 2위 팀 중 승점이 높은 8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에리트레아는 조 추첨 이후 기권했고, 에티오피아는 예선 도중 실격당했다.[6] 이 때문에 모든 조의 규모가 동일하지 않아, 2위 팀의 순위를 정할 때 해당 조 4위 팀과의 경기 결과는 점수에 반영되지 않았다.
3. 1. 시드 배정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참가팀은 2007년 7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4개의 포트로 나누어 시드를 배정받았다.[7] 각 포트별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포트 A | 포트 B | 포트 C | 포트 D |
---|---|---|---|
3. 2. 경기 결과 (각 조)
2차 예선은 1차 예선을 통과한 3팀과 1차 예선 면제를 받은 45팀, 총 48개 팀이 참가했다. 이 팀들은 4팀씩 12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조 1위 12팀과 각 조 2위 팀 중 상위 8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에리트레아는 대진표 작성 이후 기권하였고, 에티오피아는 예선 도중 실격당했다. 이에 따라 각 조 4위 팀의 경기 결과는 2위 팀 간 순위 결정에 반영되지 않았다.[6]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앙골라는 각각 2010년 FIFA 월드컵과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했지만, 예선 통과를 위해 다른 팀들과 동일한 규칙을 적용받았다.
각 조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 1위 | 2위 | 3위 | 4위 |
---|---|---|---|---|
1조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탄자니아 | 모리셔스 |
2조 | 기니 | 케냐 | 짐바브웨 | 나미비아 |
3조 | 베냉 | 앙골라1 | 우간다 | 니제르 |
4조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2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5조 | 가나 | 가봉 | 리비아 | 레소토 |
6조 | 알제리 | 감비아 | 세네갈 | 라이베리아 |
7조 | 코트디부아르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마다가스카르 |
8조 | 모로코 | 르완다 | 모리타니 | 에티오피아3 |
9조 | 부르키나파소 | 튀니지 | 부룬디 | 세이셸 |
10조 | 말리 | 수단 | 콩고 공화국 | 차드4 |
11조 | 잠비아 | 토고 | 에스와티니 | 에리트레아5 |
12조 | 이집트 | 말라위 | 콩고 민주 공화국 | 지부티 |
;1조
;2조
;3조
;4조
- 자세한 내용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4조 참조.
;5조
- 자세한 내용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5조 참조.
;6조
- 자세한 내용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6조 참조.
;7조
- 자세한 내용은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7조 참조.
;8조
- 에티오피아는 에티오피아 축구 협회장 선출 과정에서 생긴 FIFA 및 CAF와의 갈등으로 인해 2008년 7월 29일에 FIFA가 에티오피아 축구 협회에 자격 정지 처분을 내리기 전에 4경기를 치렀었다. FIFA는 2008년 9월 12일에 에티오피아의 월드컵 예선 참가 자격을 박탈하고 그들의 경기 결과를 취소했다.[21]
;9조
;10조
- 2008년 3월 27일에 FIFA는 차드 축구 협회에 자격 정지 조치를 내린다고 발표했으나, 2008년 5월 7일에 철회되었다. 차드는 안전 보장에도 불구하고 수단과의 원정 경기에 참여하지 않아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실격당했다.
;11조
- 에리트레아가 2008년 3월 25일에 기권함에 따라 토고, 잠비아, 스와질란드 세 팀 간의 경기로 치렀다.
;12조
- ---
'''각주'''
- 1 앙골라는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으로 자동 진출했지만, 월드컵 예선은 통과하지 못했다.
- 2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010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자동 진출했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통과하지 못했다.
- 3 에티오피아는 FIFA 징계로 실격 처리되었다.
- 4 차드는 안전 보장에도 불구하고 수단과의 원정 경기에 불참하여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에서 실격되었다.
- 5 에리트레아는 기권하였다.
3. 2. 1. 각 조 2위 팀 간의 순위 결정
1차 예선에서 각 조 2위를 차지한 팀들은 다른 조 2위 팀들과 비교하여 최종 예선 진출 여부가 결정되었다. 총 12개 조 중 에리트레아의 기권으로 11조는 3개 팀만 경기를 치렀다. 이에 따라 공정성을 위해 각 조 4위 팀과의 경기 결과는 제외하고 순위를 계산했다.[6]2위 팀 간의 순위는 다음 규칙에 따라 결정되었다.[21]
# 승점
# 골득실
# 득점
# 원정 다득점
# 중립 지역 플레이오프 (필요한 경우)
조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8 | 르완다 | 4 | 3 | 0 | 1 | 7 | 3 | +4 | 9 | 최종 예선 진출 |
2 | 케냐 | 4 | 2 | 1 | 1 | 6 | 3 | +3 | 7 | |
9 | 튀니지 | 4 | 2 | 1 | 1 | 4 | 3 | +1 | 7 | |
11 | 토고 | 4 | 2 | 0 | 2 | 8 | 3 | +5 | 6 | |
5 | 가봉 | 4 | 2 | 0 | 2 | 3 | 3 | 0 | 6 | |
10 | 수단 | 4 | 2 | 0 | 2 | 5 | 6 | −1 | 6 | |
12 | 말라위 | 4 | 2 | 0 | 2 | 3 | 4 | −1 | 6 | |
7 | 모잠비크 | 4 | 1 | 2 | 1 | 5 | 3 | +2 | 5 | |
6 | 감비아 | 4 | 1 | 2 | 1 | 2 | 2 | 0 | 5 | 탈락 |
3 | 앙골라 | 4 | 1 | 1 | 2 | 6 | 6 | 0 | 4 | |
1 | 카보베르데 | 4 | 1 | 0 | 3 | 3 | 7 | −4 | 3 | |
4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 | 0 | 1 | 3 | 0 | 4 | −4 | 1 |
-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2010년 FIFA 월드컵 개최국으로 월드컵 본선에 자동 진출했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탈락으로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 앙골라는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자동 진출했지만, 월드컵 예선 탈락으로 2010년 FIFA 월드컵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4. 최종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최종 예선은 2차 예선을 통과한 20개 팀이 5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각 조 1위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16]
이 최종 예선은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했으며, 각 조 상위 3개 팀이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했다. 월드컵 본선 진출팀을 결정할 때는 승점이 같은 팀끼리 전체 전적을 우선시했지만,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 진출팀을 결정할 때는 승점이 같은 팀끼리 상대 전적을 우선시했다. 조 추첨은 2008년 10월 22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진행되었다.
4. 1. 시드 배정
20개 팀은 2008년 10월 FIFA 랭킹을 기준으로 4개의 포트로 나누어 시드를 배정받았다.[17] 각 포트별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18]
4. 2. 경기 결과 (각 조)
최종 예선은 2차 조별 예선을 통과한 20개 팀을 5개 조로 나눠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러 각 조의 1위 팀만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다. 한편,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개최국으로 월드컵 본선에 자동으로 출전하며, 2차 조별 예선에서 각 조의 1, 2, 3위를 차지한 팀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게 된다.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팀을 결정할 때에는 승점이 같은 팀끼리 전체 전적을 우선시하여 순위를 결정하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할 팀을 결정할 때에는 승점이 같은 팀끼리 상대 전적을 우선시하여 순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최상위에서 승점이 동률을 이루고 있는 2~3개의 팀은 그 중에 전체 전적이 가장 좋은 팀이 동률팀간 상대 전적에서 뒤지더라도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게 되지만, 최하위에서 승점이 동률을 이루고 있는 2~3개의 팀은 그 중에 상대 전적이 가장 나쁜 팀이 전체 전적에서 다른 팀을 앞서더라도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모두 탈락하게 된다.
;범례
색상 및 표시 기준 | |
---|---|
style="background:#cfc; width:30px;"| |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모두 진출한 조 1위 팀 |
style="background:#ffc; width:30px;"| | 월드컵은 탈락했으나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진출한 조 2위~3위 팀 |
style="background:#fcc; width:30px;"| | 조 4위 팀으로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모두 탈락한 팀 |
{|
|-
|
|
|}
- 참고: 토고는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출전할 자격을 얻었으나, 대회 개막 직전 기권하였다.
{|
|-
|
|
|}
{|
|-
|
|
|}
- 알제리와 이집트는 서로 완전히 동률을 이룸으로써 2009년 11월 18일에 중립 지대인 수단 옴두르만에서 단판 승부 형식의 플레이오프를 치러서 FIFA 월드컵에 출전할 팀을 가리게 되었다. 그 결과 알제리가 1-0으로 승리하여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이집트는 홈에서 2-0 승리, 원정에서 1-3 패배(합계 3-3, 두 팀 모두 1승 1패)로 원정 다득점 원칙에서 앞서지만 이는 반영되지 않았다. 한편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결과와 관계없이 두 팀 모두 진출하였다.
{|
|-
|
|
|}
{|
|-
|
|
width=165 style="text-align:right;"| | -- | -- | -- | -- |
---|---|---|---|---|
코트디부아르 | - | 5-0 | 5-0 | 3-0 |
부르키나파소 | 2-3 | - | 1-0 | 4-2 |
말라위 | 1-1 | 0-1 | - | 2-1 |
기니 | 1-2 | 1-2 | 2-1 | - |
|}
5. 최종 결과
2010년 FIFA 월드컵에 아프리카 대표로 출전하는 6개 팀과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진출하는 16개 팀은 다음과 같다.
최종 예선 조 | FIFA 월드컵 출전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출전 | |
---|---|---|---|
A조 | width="25%" bgcolor="#ffffcc" | | '' (대회 직전 기권) | |
B조 | bgcolor="#ffffcc" | | bgcolor="#ffffcc" | | |
C조 | bgcolor="#ffffcc" | | bgcolor="#ffffcc" | | |
D조 | bgcolor="#ffffcc" | | bgcolor="#ffffcc" | | |
E조 | bgcolor="#ffffcc" | | bgcolor="#ffffcc" | | |
개최국 | bgcolor="#ccccff" colspan="2" | |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에서 최종 토너먼트에 진출한 6개 팀은 다음과 같다.
팀 | 진출 자격 | 진출 날짜 | 과거 출전 기록1 |
---|---|---|---|
2 (1998, 2002) | |||
5 (1982, 1990, 1994, 1998, 2002) | |||
3 (1994, 1998, 2002) | |||
2 (1982, 1986) | |||
1 (2006) | |||
1 (2006) |
:
참조
[1]
문서
Eritrea withdrew before playing any matches and Ethiopia was suspended by FIFA
[2]
웹사이트
FIFA.com
https://www.fifa.com[...]
2007-06-10
[3]
웹사이트
Hosts South Africa to play in 2010 World Cup qualifiers
https://web.archive.[...]
2007-08-21
[4]
웹사이트
FIFA World Cup qualifiers get underway in Africa
https://web.archive.[...]
[5]
웹사이트
African pair pull out of qualifying race
https://web.archive.[...]
[6]
웹사이트
Second place Clarification
https://www.fifa.com[...]
FIFA
2008-06-17
[7]
Webarchive
Preliminary Draw Information - Africa
http://fifa.com/mm/d[...]
FIFA
2019-07-09
[8]
웹사이트
Malagasy Football Association suspended
https://web.archive.[...]
FIFA
2008-03-19
[9]
웹사이트
Suspension of the Madagascan football association lifted
https://web.archive.[...]
FIFA
2008-05-19
[10]
웹사이트
Ethiopian Football Federation suspended
https://web.archive.[...]
FIFA
2008-07-29
[11]
웹사이트
Ethiopia excluded from the preliminary competition
https://web.archive.[...]
FIFA
2008-09-12
[12]
웹사이트
FIFA suspends Chad soccer federation because of government interference
https://sports.yahoo[...]
Yahoo! Sports
2008-03-28
[13]
웹사이트
Suspension of the Chad football association lifted
https://web.archive.[...]
FIFA
2008-05-07
[14]
웹사이트
Disqualification of Chad National team from ACN 2010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08-06-03
[15]
웹사이트
Eritrea withdraw from qualifiers
https://web.archive.[...]
FIFA
2008-03-25
[16]
뉴스
Date Set For World Cup Qualifiers Draw
https://web.archive.[...]
2008-09-19
[17]
웹사이트
African seeds established
https://web.archive.[...]
FIFA
2008-10-13
[18]
웹사이트
3rd stage format and draw
https://web.archive.[...]
FIFA
2008-10-22
[19]
웹사이트
How the best second-placed teams will be decided
http://www.fifa.com/[...]
FIFA
2014-06-10
[20]
FIFA 홈페이지
FIFAホームページ
http://www.fifa.com/[...]
[21]
웹 인용
Ethiopian Football Federation suspended
https://web.archive.[...]
FIFA.com
2009-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